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행정정보시스템의 복구율이 92%를 넘어섰다. 정부는 대구센터로 이전 중인 일부 시스템을 제외한 대부분의 전산망을 오는 20일까지 완전히 정상화한다는 방침이다.
2일 행정안전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656개가 복구돼 복구율은 92.5%에 달했다. 이는 전날보다 3개가 늘어난 수치로, 정부는 이번 주 안으로 복구율을 95%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날 추가로 복구된 시스템은 ▲행정안전부 지진가속계측자료 통합관리시스템 ▲재난안전데이터 공유플랫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침해예방시스템 등이다.
등급별 복구 현황을 보면, 중요도가 가장 높은 1등급 시스템 40개는 모두 정상화됐고, 2등급은 68개 중 64개(94.1%), 3등급은 261개 중 242개(92.7%), 4등급은 340개 중 310개(91.2%)가 가동 중이다.
정부는 이번 주 내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개인정보 조사정보통합시스템, 국가보훈부의 보훈통계시스템 등 31개 시스템을 추가 복구해 복구율을 95.2%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일부 시스템을 제외하면 전체 시스템의 97%를 오는 20일까지 재가동하는 것이 목표다.
대구샌터 이전 작업 속도...재정 확보 협의 중
대구센터 이전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전 추진 중인 16개 시스템 중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등 2개는 이미 복구됐으며, 백업데이터 복원도 완료됐다. 나머지 14개 중 소방청과 소방예방정보 등 10개 시스템은 이달 중, 행안부 스마트워크센터 운영 등 4개는 연내 정상화를 목표로 복구가 진행 중이다.
정부는 복구와 이전 작업을 위한 재정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대전 본원 복구를 위한 전산장비 구매 및 임차(1303억 원) 등을 포함한 1차 예비비 1521억 원을 지난달 21일 확보했으며, 대구센터 이전을 위한 2차 예비비 확보를 위해 재정당국과 협의 중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대구센터 연계 시스템으로 인해 복구가 일부 지연됐지만, 연내 모든 복구 완료를 목표로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6일 오후 8시 20분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정자원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대전 유성구 화암동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하면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국회 국정감사에 따르면 이 화재로 난 손실은 100억원가량이고, 데이터 일부는 완전히 유실돼 국민신문고 등에 접수된 민원 일부는 찾을 수 없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