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LIFE platform

대선 D-23…온라인 포털‧SNS, 허위정보‧가짜뉴스 차단에 부심

네이버‧카카오, 뉴스페이지에 언론사 팩트체크 제공
트위터, 오해 소지 정보에 '주석 라벨' 표시

URL복사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포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허위정보 차단을 위한 노력에 나섰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 선거운동이 활성화됐고, 선거철을 맞아 정치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면서 온라인 상 허위사실공표 및 비방이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국민들이 선거 정보를 자주 접하는 포털 사이트와 SNS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네이버는 지난 8일 선거 관련 정보를 종합 제공하는 대선 특집 페이지를 공개했다. 이 페이지에서는 선거 관련 불공정 보도 기사 모음과 팩트체크 서비스가 제공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가 불공정보도로 조치한 선거 기사는 불공정 선거보도 기사모음 페이지에 게재하게 된다. 또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가 국내 주요 언론사들과 함께 운영하는 팩트체크 기구 ‘SNU팩트체크’와 연계, 주요 대선 후보자들의 발언 및 공약, 관련 사실 등을 검증하는 서비스를 운영한다.

 

카카오는 15일 본지 문의에 “포털 다음은 현재 서비스 개편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으로 대선 페이지를 별도로 운영하지 않고 ‘대통령 선거’ 관련 검색 시 선거와 관련된 정보가 안내되는 검색 컬렉션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혜정 카카오 매니저는 “누구나 원하면 입점해 뉴스를 노출할 수 있는 외국의 오픈 플랫폼 방식 서비스와는 달리, 카카오를 비롯한 국내 포털은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뉴스 제공사업자 검증 작업과 관련 규정, 프로세스를 거쳐 뉴스를 노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가짜뉴스 사이트가 검색 결과 내지 국내 포털에 올라오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더불어 카카오는 다음 뉴스 페이지를 통해 언론사 팩트체크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다. 또 다음과 뷰(View)탭 등 포털 공개 게시물의 경우 ▲욕설‧모욕 ▲허위사실‧명예훼손 등에 신속한 신고처리, 자체 필터를 통한 모니터링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언론사 사칭 및 기사 형태의 게시글은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가짜뉴스 신고 접수를 통해 삭제 조치를 하고 있다.

 

 

트위터, 선관위와 협력...검색 프롬프트 도입

 

트위터는 15일 중앙선관위와 협력, 제20대 대선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검색프롬프트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용자가 선거 관련 키워드를 검색할 경우 선관위 및 선거통계시스템으로 안내하는 메시지가 자동으로 노출된다.

 

또 잘못된 선거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 아시아 최초로 ‘주석 라벨’을 표시하기로 했다. ▲선거 절차에 대한 오해 소지가 있는 정보 ▲사람들이 선거 및 투표에 참여하는 것을 협박 또는 단념시키기 위한 잘못된 정보 ▲선거 결과에 대한 오보가 포함된 트윗 등 오해 소지가 있는 정보가 포함된 트윗에 내부 검토를 거쳐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라벨을 표시한다.

 

후보자 및 정당을 사칭하거나 소속을 허위로 표시하는 계정도 제재할 예정이다.

 

트위터 코리아 공식 계정을 통해 대선 후보 7명의 공식 계정 리스트를 공개했으며, 트위터 공식 계정을 운영하는 9개 정당의 계정을 소개했다. 이용자는 후보자의 트위터 계정을 팔로해 유세일정, 공약 등 최신 소식을 받을 수 있으며 트위터 멘션이나 다이렉트 메시지(DM)를 통해 후보자와 소통할 수 있다.

 

페이스북은 지난 2020년 미국 대선 과정에서 가짜뉴스를 적극적으로 차단했으며, 한국 대선에도 비슷한 수준의 대응을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중앙선관위는 지난해 11월 대선을 앞두고 허위사실 공표‧비방 차단을 위해 언론단체 및 포털‧SNS업체와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당시 중앙선관위는 네이버, 카카오, SK커뮤니케이션즈, 구글, 트위터, 페이스북 등에 위법게시물 삭제요청, 통신자료 제출요구 시 신속한 조치 및 회신에 협조해줄 것을 요청했다.




배너

기획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HOT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