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물류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DX)을 통한 물류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6일 발표한 ‘수출입 물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수출입 기업 물류 담당 4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9.5%가 ‘물류분야도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95.8%는 물류의 DX를 통해 물류비 절감을 기대했다. 기존 대비 예상하는 절감 규모를 묻는 질문에는 ‘10~20%’를 예상한 응답이 36.6%로 가장 비중이 컸다. ‘30%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14.8%, ‘20~30%’라고 답한 비율은 23.6%, ‘0~10%’라고 답한 비율은 20.8%였다. 비용 절감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본 비중은 4.2%에 그쳤다. 다만 DX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아직까지 현장에서는 적극적인 대응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 응답자들은 디지털 플랫폼 이용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지원으로 ‘플랫폼 이용비 지원’(31.2%)을 꼽았다. ‘플랫폼 관련 교육’(30.4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13일부터 전동킥보드 탑승 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으면 범칙금이 부과된다. 이날부터 개정된 도로교통법이 시행되면서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에 대한 단속이 강화됐다. 안전모 등 인명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PM을 타면 범칙금 2만 원을 내게 된다. 또한 원동기 면허증 보유자만 전동킥보드를 운전할 수 있으며, 면허 없이 운전 시 범칙금 10만 원이 부과된다. 두 명 이상이 전동킥보드를 같이 타면 4만 원의 범칙금이 부과된다. 음주운전 시에는 10만 원, 음주측정 거부 시에는 13만 원의 범칙금이 부과된다. 전동킥보드는 이륜차로 분류,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우측 차로나 자전거도로로 운행해야 한다. 인도로 운행 시 범칙금 3만 원이 부과된다. 신호위반 및 중앙선 침범 시 범칙금 3만 원이다.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 전동킥보드를 운전하다 적발되면 부모나 보호자에게 과태료 10만 원이 부과된다. 경찰청은 개정된 도로교통법 시행 이후 한 달 동안은 처벌 대신 계도 위주의 단속을 하기로 했다. 이같은 법안이 시행된 것은 전동킥보드 관련 안전사고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PM 관련 사고 건수는 2017년 117건
[편집자주] 본지는 우리사회에서 4050세대가 비대면 시대에 소외되지 않도록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to4050’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게재합니다.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는 기존 헬스케어 서비스에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IT 기술을 접목한 미래 유망산업이다. 시장조사업체 GIA(Global Industry Analysts)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 헬스 산업은 지난해 1520억 달러 규모까지 커졌고, 오는 2027년에는 508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손재희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12일 본지에 “예전에도 보험사는 헬스케어를 통해 위험을 낮추고 이를 통해 의료비지급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용이 만만치 않아 확대시키기 어려웠다”면서 “그러나 디지털기술이 접목되면서 이러한 헬스케어가 보다 저렴하고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손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해 감염위험, 건강위험에 대한 인식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으며 이는 소비자들의 헬스케어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네이버와 카카오가 북미 웹툰·웹소설 플랫폼을 각각 인수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맞붙는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지난 7일 북미 웹툰 플랫폼 타파스와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의 인수를 이사회에서 결의했다고 11일 밝혔다. 타파스는 지난 2012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설립된 북미 최초의 웹툰 플랫폼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경이로운 소문’, ‘승리호’ 등을 포함한 약 80여 개의 지적재산권(IP)을 타파스를 통해 북미시장에 공급해왔다. 인수가격은 5억 1000만 달러(약 6000억 원)다. 래디쉬는 2016년 미국 뉴욕에서 설립된 모바일 특화형 영문소설 콘텐츠 플랫폼이다. 회사가 100% IP를 보유한 자체 제작 콘텐츠 ‘래디쉬 오리지널’을 통해 빠르게 성장해왔다. 카카오는 이달 중 4억 4000만 달러(약 5000억 원)을 투자, 공개매수를 통한 래디쉬 인수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이달 초 캐나다 웹소설 업체 ‘왓패드’의 인수를 마무리했다고 11일 밝혔다. 네이버는 지난 1월 왓패드 인수건을 이사회에서 결의, 지분 100%를 약 6억 달러(6714억 원)에 취득했다. 왓패드는 2006년 설립된 세계 최대 웹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채팅플러스’에서도 ‘카카오톡’에서처럼 메시지 보내기 취소가 가능해진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는 10일 채팅플러스에 메시지 보내기 취소, 공감, 답장 등 신규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채팅플러스는 스마트폰의 기존 문자메시지 서비스(SMS, MMS)가 진화한 차세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RCS; Rich Communication Services)다. 스마트폰에 별도의 앱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기본 탑재되어 있다. 채팅플러스의 메시지 보내기 취소 기능은 카카오톡과 마찬가지로 메시지 발송 5분 이내에 한해 사용 가능하다. 삭제하고 싶은 메시지를 2초간 누르고 있으면 ‘보내기 취소’ 버튼이 나타나는데, 이를 눌러 사용하면 된다. 상대방에게는 ‘보내기 취소된 메시지입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현재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은 삼성전자의 갤럭시S21 시리즈에 한하며, 이통 3사는 향후 서비스 가능 단말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카카오톡의 경우에는 지난 2018년 9월부터 발신 메시지를 5분 내에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메시지를 누르면 나타나는 ‘모든 대화상대에게서 삭제’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5G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기술의 발전이 빨라지고 있다. 지난 주말에는 황사가 전국을 강타, 미세먼지 수치가 치솟았다. 지난 7일부터 유입된 황사는 주말까지 국내 전역에 영향을 미치고 9일부터 잦아들고 있다. 기상청은 7일 오후 인천과 경기 중부, 충남 서부, 전북 서부, 서해 5도 등에 황사 경보를 발령했다. 내륙에 황사 경보가 발령된 것은 2008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이에 KBO는 7일 열릴 프로야구 4경기(한화 이글스-LG트윈스, NC다이노스-kt wiz, 키움 히어로즈-SSG 랜더스, 두산베어스-KIA 타이거즈)를 미세먼지로 취소하기도 했다. 2018년 미세먼지로 인한 경기 취소 규정을 만든 뒤 정규리그 4경기가 한꺼번에 취소된 것은 이번 사례가 처음이다. 8일에도 미세먼지는 이어졌다. 서울과 경기 일부지역에서는 한때 시간 평균 미세먼지 최고농도가 1000㎍/㎥을 넘어섰다. 서울 중구의 경우 오후 1시께 시간 평균 1024㎍/㎥을 찍었다. 미세먼지로 인한 고민이 가중되는 가운데, 특허청은 최근 미세먼지 측정 기술의 국내 연구개발이 매우 활발하다고 전했다. 특허청이
[편집자주] 본지는 우리사회에서 4050세대가 비대면 시대에 소외되지 않도록 맞춤형 기사와 정보를 제공하는 ‘to4050’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게재합니다.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업무용 메신저로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기업이 대부분인 가운데, MZ세대는 업무용 카카오톡을 받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오픈서베이가 지난 5일 공개한 ‘업무 툴 트렌드 리포트 2021’에 따르면, 국내 20~50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3.3%가 카카오톡을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9인 미만 회사의 경우 65.3%가, 10인~99인 규모의 회사에서는 57.4%가 카카오톡을 업무용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100인 이상인 회사의 경우 45.4%의 응답을 얻었다. 회사 자체 메신저를 사용하고 있는 비율이 28.3%로 뒤를 이었다. 100인 이상 회사의 경우 43.9%가 자체 메신저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10인~99인 규모 회사는 18.7%, 9인 이하 회사는 7.5%로 급격히 비율이 낮아졌다. 이밖에 네이버밴드(10%), 네이트온(8.8%), 마이크로소프트(MS) 팀즈(6.1%), 텔레그램(3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배달앱이 활성화되면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배달의 민족(배민)’이 업계 1위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쿠팡이츠’의 성장률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서베이가 3일 발표한 ‘배달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2021’에 따르면, 국내 거주 20~59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음식 배달 서비스 웹·앱 인지도 1위는 배민이었다. 95.8%(복수응답)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2위는 90% 응답을 얻은 요기요였다. 3위를 쿠팡이츠가 차지했다. 쿠팡이츠의 경우, 전년에는 23.3%의 응답만을 얻었지만, 올해는 72.4%의 응답을 얻으면서 인지도가 큰 폭으로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3개월 내 이용 경험을 묻는 질문에서 배민은 80.6%, 요기요는 42.8%, 쿠팡이츠는 28.9%의 응답을 얻었다. 주 이용 서비스를 묻는 질문에는 각각 64.3%, 17.8%, 9.3% 응답을 얻었다. 전년 대비 배민은 4.1%, 쿠팡이츠는 7.8% 증가했지만 요기요는 6.2% 감소했다. 이전에 음식점에 직접 전화 주문했던 이용자들의 72.2%가 현재에는 배민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이 오는 6일 ‘모바일 운전면허증 구축 사업’을 발주한다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말부터 국민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에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통합형 신분증이다. 기존 운전면허증과 병행해 사용할 수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기존 운전면허증과 동일하게 관공서 등에서 신원확인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은행 등 민간 영역에서도 본인확인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신분증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온라인 상 로그인, 신원 정보 입력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운영 중인 인증 앱 패스(PASS)에도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가 존재한다. 패스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는 앱 내에 본인 명의의 운전면허증을 등록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바코드나 QR코드를 띄워주면 스캔해서 확인하는 방식을 쓴다. 서비스 출시 이후 전국 CU·GS25 편의점 매장에서 미성년자 확인을 위한 신분증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전국 운전면허 시험장에서 운전면허증 갱신이나 재발급,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애플이 이용자의 허가 없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제재를 가하면서 ‘맞춤형 광고’로 수익을 내는 페이스북이 난감한 상황에 직면했다. 애플은 지난 26일 iOS 14.5를 업데이트하면서 ‘앱 추적 투명성(ATT·App Tracking Transparency)’ 기능을 포함했다. 이는 광고목적으로 이용자의 데이터를 추적할 때 반드시 동의를 얻도록 하는 기능이다. iOS를 업데이트 한 후 페이스북 등 이용자의 정보를 추적하는 앱을 열면, ‘앱이 사용자의 활용을 추적하도록 허용하겠느냐’고 묻는 팝업 창이 뜬다. 이용자는 이때 ‘앱에 추적 금지 요청’과 ‘허용’ 두 가지 선택지 중에 선택할 수 있다. 추적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앱은 IDFA(광고주용 식별자)에 접근할 수 없게된다. IDFA는 애플이 기기마다 부여한 고유식별자로, 광고주들은 이를 활용해 아이폰 이용자의 검색 활동과 앱 이용 기록, 앱을 이용해 물건을 거래한 내역, 앱 다운로드 내역, 최근 위치 등을 추적해 개인의 성별·연령대·취향·관심사에 부합하는 맞춤형 광고를 표시해왔다. 따라서 앱 추적 금지가 적용되면, 업체들은 맞춤형 광고를 표시할 수 없다. 예컨대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