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롯데카드 해킹 사고 여파로 카드 회원 탈퇴자가 1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불안감이 확산하면서 단순한 카드 정지나 재발급을 넘어 ‘회원 관계를 끊겠다’는 고객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롯데카드가 24일 발표한 ‘사이버 침해 사고 관련 고객 보호조치 현황’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23일 오후 6시까지 개인정보가 유출된 전체 고객 297만 명 중 1만 5949명이 회원 탈퇴를 신청했다. 카드 해지는 4만 2014명, 카드 정지는 11만 6000여 명, 카드 재발급 65만여 명, 비밀번호 변경 82만여 명으로 집계됐다. 중복을 제외하면 약 128만 명(전체 유출 고객의 43%)이 보호조치에 나선 셈이다.
특히 카드번호·유효기간·CVC번호까지 유출된 고위험 고객 28만명 가운데서도 2277명이 회원 탈퇴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카드, 늑장대응 등 논란
롯데카드는 “현재까지 부정 사용이나 실제 소비자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추석 연휴 전까지 위험군 고객 전원이 보호조치를 마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해킹 사고로 발생한 피해와 2차 피해까지도 연관성이 확인되면 전액 보상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해킹은 지난달 14일 발생했지만 롯데카드가 외부 침해 흔적을 파악한 것은 17일 뒤였고, 금융당국 신고도 이달 1일에서야 이뤄져 늑장 대응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아울러 금융당국 조사 결과, 유출된 정보량은 당초 보고된 1.7GB보다 100배 이상 많은 200GB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유출 시점은 지난 7월 22일부터 8월 27일 사이 온라인 결제 서버에서 발생했으며, ▲연계정보(CI) ▲주민등록번호 ▲가상결제코드 ▲내부식별번호 ▲간편결제 서비스 종류 등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