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삼성전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산업 안전 관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회사는 30일, ‘스마트싱스 프로 안전 관리 솔루션’을 출시하고 건설·제조·물류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근무자 안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솔루션은 삼성전자의 인공지능(AI) 기반 B2B 플랫폼 ‘스마트싱스 프로’와 LTE 모델의 갤럭시 워치를 결합한 형태다. 근무자는 워치를 착용하고, 관리자는 PC·태블릿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근무자의 생체·환경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측정 항목은 피부 온도, 심박수, 낙상 여부 등 개인 건강 지표는 물론, 현장의 온도·습도 같은 환경 데이터까지 포함된다. 온열지수 상승, 낙상 등 위험 상황이 포착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인근 근무자와 안전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해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근무자가 위험 구역에 진입하거나 직접 SOS 버튼을 누를 경우에도 긴급 알림이 발송된다.
이 솔루션은 안전 관리 외에도 대규모 사업장에서 업무 지시나 공지사항을 근무자에게 원격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근무자 보호뿐 아니라 현장 운영 효율성도 함께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적용 범위도 넓다. 건설·제조 현장은 물론 물류센터, 공공기관, 민간 기업, 격리 병동, 리조트 등 안전 관리가 필요한 모든 산업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근무 환경 개선과 예방적 안전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박찬우 삼성전자 B2B솔루션팀 부사장은 “갤럭시 워치의 정밀한 헬스 모니터링 기술과 스마트싱스 프로의 데이터 분석 역량을 결합한 이번 솔루션은 산업 안전 관리의 새로운 모델”이라며,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AI 기반 B2B 솔루션을 지속 개발해 근무자 안전과 업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솔루션이 스마트워치의 개인 헬스케어 기능을 산업 안전 관리로 확장한 첫 사례 중 하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보고 있다. 웨어러블과 IoT, AI를 결합한 ‘스마트 안전 관리’가 향후 산업 현장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도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