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정재헌 SK텔레콤 신임 최고경영자(CEO)가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SK AI 서밋 2025’ 무대에 올라 대한민국을 글로벌 AI 인프라 허브로 도약시키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정 CEO는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서밋 기조연설에서 “글로벌 자본과 기술을 적극 유치해 한국이 세계적인 인공지능 인프라의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며 “AI 인프라 고도화를 통해 국가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그는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 구축과 GPU 클라우드 인프라 조성을 통해 기반 역량을 확보했다”며 “이제는 이를 토대로 본격적인 확장 단계로 진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정 CEO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울산 AI 데이터센터의 용량 확대와 함께 서남권 신규 AI 데이터센터 설립 계획을 공개했다. 그는 “국내 거점 강화 이후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SK그룹의 반도체·에너지 등 제조 역량과 SK텔레콤의 AI 기술 인프라를 융합해 산업 전반의 생산성 혁신을 이끌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제조 AI 전용 디지털 트윈 솔루션과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을 현재 개발 중이며, 엔비디아와 협력해 RTX 프로 GPU 2천 대 기반의 제조 AI 특화 클라우드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AI 인프라 효율화 전략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정 CEO는 “인프라 사업의 핵심 경쟁력은 비용 효율성과 구축 속도에 있다”며 “인랙(in-rack)과 에너지 솔루션은 그룹사와 협업해 구현하고, 아웃랙(out-rack)과 클러스팅 서비스는 직접 개발해 내재화를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AI 대전환의 한가운데서 국가를 대표하는 AI 기업 CEO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AI 인프라와 산업 솔루션을 결합한 국가대표형 AI 사업자로 도약해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정재헌 CEO는 지난달 30일 취임했으며, 이번 서밋 연설을 통해 향후 AI 전략의 방향성과 글로벌 비전을 공식적으로 선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