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AI platform

[이슈분석] 로봇은 사람 일자리 뺏었다…그렇다면 인공지능은?

단순직 등 노동대체현상 일어날 것으로 전망
신산업 발전으로 새로운 고용효과 나타날 수도
"일자리수가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다...새로운 환경에 맞는 규범 확립해야"

URL복사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일부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인공지능(AI)이 고용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연구 조사도 본격화 한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AI의 일자리 대체 현상을 인정하면서도 제한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이달 25일부터 사흘동안 고용정책심의회를 열어 고용영향평가 과제 20개를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중 한국판 디지털 뉴딜 분야에는 ‘AI 경제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과제도 포함됐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 이용이 활발해지면 로봇이 그랬듯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기도 한다. 

 

실제로 로봇은 일자리를 어느 정도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7일 발표된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에 게재된 ‘산업용로봇 보급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8년까지 로봇침투도가 1단위 상승할 때마다 해당 산업의 종사자수 증가율이 약 0.1%p, 실질임금 상승률이 약 0.3%p 하락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이 분석은 해당 산업의 고용 여건에 미치는 효과만 고려한 것이다. 산업간 생산성 증대효과, 신산업 일자리 창출효과 등은 제외됐다. 

 

 

인공지능의 노동대체 현상 현실로 다가올까

 

전문가들은 AI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노동대체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19년 발간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8-2028’ 보고서에서 “AI 기술의 확산으로 산업구조가 고도화되고 기계와 협업하거나 컴퓨터화하는 직업, 직무환경 및 업무 수행 방식의 변화가 빠르게 전개되며 고급 기술인력 수요가 훨씬 더 증가하는 현상이 전망된다”고 밝혔다. 

 

예컨대 AI 분야에서 수학 전공자 등 알고리즘을 짤 수 있는 핵심인재, 분야별 AI 적용 모델링과 피처 엔지니어링을 할 수 있는 인재 수요는 증가하지만 범용 소프트웨어 개발 등 역할은 일괄 서비스나 플랫폼 제공 업체의 등장으로 오히려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고용정보원이 2016년 국내 AI‧로봇전문가 21명에게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2025년까지 직업종사자의 61.3%가 AI나 로봇으로 대체될 위험이 높다는 응답이 나오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청소원과 주방보조원 등 직업능력 수준이 낮은 단순직 대체 가능성은 높게 보고, 회계사 등 전문직 대체 가능성은 낮게 봤다. 

 

LG경제연구원은 지난 2018년 ‘인공지능에 의한 일자리 위험 진단’ 보고서에서 전체 일자리의 43%가 AI로 대체될 위험이 있다고 봤다. 사무직, 판매직, 기계조작 종사자가 전체 고위험 일자리의 72%를 차지했다. 

 

다국적 컨설팅회사 딜로이트는 AI 기술의 발달이 법률시장의 일자리 3만 1000여 개를 감소시켰으며, 20년 뒤에는 법률 시장의 일자리가 AI에 대체돼 최소 39%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한편 린 우(Lynn Wu) 미 펜실베이니아 대 워튼스쿨 교수는 지난해 11월 AI와 로봇의 부상으로 관리자급 일자리 감소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하급 기능직과 고급 기능직의 고용은 유지되지만, 로봇과 AI가 기존에 관리자를 필요로 했던 부분에서 효율성을 확보하면서 중간 관리‧감독 인원의 필요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내용이다.

 

 

"노동대체는 있지만, 일자리 수는 줄어들지 않을 것"

 

다만 앞서 언급했듯이, AI 기술이 확산된다고 해서 일자리 수가 줄어든다고 볼 수만은 없다. 어느 정도의 노동대체현상이 있겠지만 신산업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고용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허재준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9일 본지에 “인공지능기술의 확산으로 일자리 ‘수’가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다. 특정기업이 신기술을 이용해서 전보다 적은 인원으로 더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는 보고는 많지만, 전체 종업원수를 줄이기보다는 그 여력으로 사업을 확장하거나 다각화하며 매출을 늘인 기업이 훨씬 많다”고 설명했다.

 

허 위원은 “하지만 일자리 수 ‘증가율’이 둔화된 시기는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다. 그 기간이 얼마나 될지는 각국의 기업과 각국 정부가 4차산업혁명(디지털 전환)에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AI로 단순직의 대체 위험이 높은 상황에서, 정부나 사회가 급격한 노동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환경에 맞는 규범을 확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허 위원은 “과거 규범에 매여 인공지능 기술이 제공하는 잠재력과 가능성을 놓친다면 대체되는 일자리보다 생겨나는 일자리가 더 적어지고 소득증가도 제약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컨대 새로운 플랫폼이 등장했을 때 기존의 사업자는 위협받겠지만, 소비자들은 오히려 기존의 경쟁 규범을 구시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허 위원은 “경쟁정책에서만 새로운 규범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인공지능시대는 교육방식‧교육콘텐츠‧노동규범 등 사회 도처에서 새로운 규범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