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AI platform

SK텔레콤, 자체 개발 LLM ‘A.X 3.1’ 공개… “한국어 넘어 추론형 AI로 진화”

URL복사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SK텔레콤이 자사 독자 기술로 개발한 차세대 거대언어모델(LLM) ‘A.X 3.1’을 24일 공식 공개하며, 본격적인 글로벌 AI 기술 경쟁에 나섰다. 이번 모델은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인 허깅페이스(Hugging Face)를 통해 소스코드 및 학습모델이 함께 공개되며, 연구·상업적 활용 모두에 개방된다.

 

'A.X 3.1'은 340억 개(34B)의 매개변수(parameter)를 가진 대규모 모델로, SK텔레콤이 모델 설계부터 데이터 수집, 전처리, 학습, 튜닝까지 모든 과정을 독자적으로 수행한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방식으로 제작됐다. 전작인 ‘A.X 3.0’이 한국어 기반의 자연어 대화 성능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버전은 프로그래밍·수학 등 복잡한 추론 능력을 대폭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A.X 3.1은 모델의 활용성과 확장성 측면에서도 전략적인 변화가 이뤄졌다. 표준형과 경량형 모델로 나뉘어 제공되며, 기존에 공개된 A.X 4.0 모델 2종(표준·경량)을 포함해 SK텔레콤은 총 4종의 LLM을 오픈소스로 운영하게 된다. A.X 4.0은 기존 대형 모델을 기반으로 한 지속학습(Continual Pre-Training) 방식으로 학습된 버전이다.

 

실제 성능도 눈에 띈다. A.X 3.1은 국내 LLM 성능을 가늠하는 대표적 벤치마크 KMMLU 평가에서 A.X 4.0 대비 약 88%의 수준을 기록했으며,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 평가에서는 90%에 달하는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언어 이해력뿐 아니라, 논리적 추론과 영역별 전문성 측면에서도 균형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SK텔레콤 측은 “A.X 3.1은 단순한 언어처리 모델을 넘어, 차세대 AI 서비스에 필요한 복합 사고력과 작업 자동화 능력을 갖춘 진화형 모델”이라며 “한국어에 강점을 가진 글로벌 수준의 LLM으로서, 산업 전반의 AI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회사는 향후 현재 AI 업계의 모델 개발 표준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 구조를 넘어서는 새로운 AI 모델 구조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추론 효율성과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AI 모델 기술 확보를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SK텔레콤은 앞으로도 다양한 AI 생태계와의 협업을 확대해, A.X 시리즈의 글로벌 확산과 상용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배너

기획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