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지난해 대규모 미정산사태로 논란이 됐던 티몬이 1년 만에 다시 문을 연다.
티몬은 오는 8월 11일 리오픈한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7월 사업을 잠정 중단한 지 1년 만으로, 올해 6월23일 회생 인가를 받은 지 약 2개월 만이다.
공식적으로 영업을 재개하는 티몬은 철저한 내부 재정비를 거쳐 소비자 신뢰 회복과 셀러와 관계 복원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본격적인 시장 재도약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티몬은 오픈 일정 확정과 함께 입점 셀러들에게 공식적으로 관련 사항을 안내하고 있다. 앞서 약속한 대로 입점한 피해 셀러들에게는 3~5%의 업계 최저 수준의 수수료로 계약을 진행한다.
아울러 익일 정산 시스템을 도입해 셀러의 현금 유동성을 적극 지원하고 유통망 안정화를 위한 구조 개선에 나선다. 티몬은 이러한 변화를 통해 셀러와의 신뢰를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상생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오픈 관련 소비자 대상 이벤트는 최종 점검 단계에 있으며, 행사 일정 및 세부 내용은 추후 공식 채널을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
티몬 관계자는 “이번 리오픈을 계기로 소비자와 셀러 모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리오픈하는 티몬에 많은 관심과 기대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소비자들 반응은 '냉랭'
티몬은 2010년 국내 최초 소셜커머스 플랫폼으로 등장해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를 주도했지만, 지난해 7월 대규모 판매대금 미지급 문제로 신뢰를 잃고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사건 당시 티몬 측은 “일시적인 시스템 문제”라고 해명했지만, 판매대금 미지급 사태는 수개월 간 해결되지 않았고 결국 자금난을 인정하며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이른바 '티메프 사태'로 불린 이 사건은 소비자 47만명과 셀러 5만 6000여명, 미정산 금액 약 1조 2789억원이라는 피해 규모를 기록하며 이커머스 역사상 최악의 사태로 꼽힌다.
법원의 회생계획 강제 인가에 따라 채권 변제율은 고작 0.75%에 불과해, 피해자들의 실질 보상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예컨대 1000만원의 손실금에 대해 단 7만 5000원만 돌려받는 수준이다.
이에 일부 소비자와 판매자들은 아직도 티몬을 향한 불신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한편 티몬은 현재 오아시스마켓에 인수된 상태로 새벽배송 중심의 식품 유통 플랫폼과의 시너지 전략도 예상된다. 같은 사태에 휘말렸던 위메프는 아직 인수자를 찾지 못한 상태로 정상화 여부는 불투명하다.
오아시스의 강점인 신선식품이 티몬의 새로운 무기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