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KT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전력 절감 기술로 에너지 효율화에 본격 나서며 ‘친환경 ICT 기업’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KT는 21일, 오는 22일 ‘에너지의 날’을 맞아 자사의 AI 기반 전력 절감 기술 운영 성과를 공개했다. 핵심은 서버 전력 최적화 솔루션 ‘에스키모(ESKIMO)’다.
에스키모는 전국 각지에서 가동 중인 네트워크 서버의 중앙처리장치(CPU) 부하를 실시간 분석해 전력 소모를 자동으로 최적화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고 전체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인다. 여기에 냉방 기류 분석·제어 기능까지 결합해 데이터센터 냉방 전력 절감에도 기여하고 있다.
KT는 또한 개방형 무선망(오픈랜, Open RAN) 환경에서 무선망 지능형 컨트롤러를 활용한 전력 절감 기술 검증에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시험 결과, 기존 대비 약 16%의 기지국 전력 절감 효과를 확인했으며, 이는 네트워크 인프라 운영의 친환경 전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라는 설명이다.
KT 관계자는 “에너지 효율화는 단순한 비용 절감을 넘어 기후 위기 대응과 ESG 경영 실천의 핵심”이라며 “AI 기반 에너지 절감 기술을 네트워크 전반으로 확대 적용해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KT의 이번 기술이 향후 통신사 데이터센터 운영 및 6G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ICT 업계가 에너지 소비 절감과 친환경 전환을 주요 과제로 내세우는 상황에서 국내 기술 기업이 선도적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