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AI platform

SK텔레콤, 전사 AI 혁신 조직 ‘AI CIC’ 출범

2030년까지 연매출 5조 원 도전…유영상 대표 직접 지휘

URL복사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사업을 전사 차원에서 혁신하기 위해 새로운 사내 독립회사 형태 조직인 ‘AI CIC(Company in Company)’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조직 개편은 그룹 전체 AI 역량을 결집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다.

 

유영상 대표 “AI 골든타임, 지금이 마지막 기회”

 

25일 진행된 전사 타운홀 미팅에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직접 조직 출범 사실을 알리며 “AI 산업은 지금이 골든타임이며, 내부 혁신과 외부 사업 확장을 동시에 추진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AI CIC의 대표직도 직접 겸임하며, 조직의 방향성을 일선에서 진두지휘할 계획이다.

 

AI 사업·연구 기능 전면 재편

 

새로 출범한 AI CIC는 SK텔레콤의 주요 AI 관련 사업과 기능을 총괄하며, 개인용 AI 서비스 ‘에이닷’과 기업용 ‘에이닷 비즈’를 비롯해 AI 데이터센터, 글로벌 제휴·투자 사업, 연구개발(R&D), 메시징·인증 서비스 등을 아우른다. 기존에 흩어져 있던 조직과 기능을 하나의 체제로 통합함으로써 그룹 전체의 AI 플랫폼 역할을 강화하고, 나아가 국가와 산업 전반의 다양한 수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탈바꿈한다.

 

5년간 5조 투자…매출 5조 원 목표

 

SK텔레콤은 AI CIC를 중심으로 향후 5년간 약 5조 원을 투자하고, 오는 2030년까지 연 매출 5조 원 이상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특히 B2C 분야에서는 에이닷 기반으로 국내외 가입자 확대를 추진하고, B2B 영역에서는 제조업 현장에 특화된 ‘에이전틱(Agentic) AI’ 레퍼런스를 구축해 생산성 혁신 사례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AI 데이터센터·내부 혁신 병행

 

AI 데이터센터 사업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끌어들이고 정부 주도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해 국내 최상위 사업자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동시에 내부 업무 혁신도 병행된다. 이동통신과 네트워크 사업 전반에 AI 기반 자동화를 도입해 업무 효율성과 서비스 안정성을 높이고, 전사 차원의 AX(AI 전환) 문화 정착에 속도를 낸다.

 

또한 AI 전문 인력을 핵심 조직 전반에 배치하고, 사내 적용 범위를 넓혀 업무 혁신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방침이다.

 

글로벌 AI 기업 도약 선언

 

유영상 대표는 “AI CIC를 중심으로 SK텔레콤의 또 한 번의 대전환을 이끌겠다”며 “고객과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나아가 글로벌 AI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출범은 통신사에서 AI 기업으로 변신하려는 SK텔레콤의 행보가 본격적인 실행 단계에 들어섰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