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AI platform

삼성전자 DX부문, 차세대 AI 과제 전담조직 ‘이노X 랩’ 출범…로봇·디지털 트윈 본격화

URL복사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중심의 미래 기술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전략 조직을 새롭게 출범시켰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은 이날 전사 AI 기반 전략 과제를 집중 추진할 전담 조직 ‘이노X 랩(InnoX Lab)’을 신설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노X’는 '이노베이션(Innovation)'과 '트랜스포메이션(Transformation)'의 합성어로, 혁신과 변화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노X 랩은 단순한 연구조직을 넘어, 단기간 내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는 ‘실행형 조직’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기술개발 조직과는 차별화된다. AI 시대에 발맞춰 민첩한 협업과 과감한 실행이 요구되는 메가 프로젝트들을 전담하며, 전사적 차원의 기술 경쟁력 강화에 중추 역할을 맡게 된다.

 

이 조직은 향후 ▲디지털 트윈 솔루션의 전사적 확산 ▲물류 효율화를 위한 로지스틱스 AI ▲제조 현장의 자동화를 위한 피지컬 AI 기술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핵심 기술 개발 등 고도화된 과제들을 중점 수행할 계획이다.

 

특히 각 과제에는 사업부나 직무의 경계를 넘는 ‘유연한 인력 구성’ 방식을 적용해,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프로젝트별로 선발·투입하는 애자일(Agile) 조직 모델이 적용된다. 이를 통해 고정된 부서 간 장벽 없이 민첩하고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케 하고, DX부문의 핵심 역량을 유기적으로 결집하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는 이노X 랩을 중심으로 전사 단위의 AI 기반 메가 과제를 집중 추진해, 단순 기술 개발을 넘어 AI가 실제 사업과 제품, 운영 전반에 통합되는 구조적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노X 랩은 삼성전자 DX부문이 AI를 미래 성장축으로 삼고 있는 신호탄”이라며 “단순한 연구개발(R&D)을 넘어서, 비즈니스 현장에 AI 기술을 정착시키기 위한 실행력 있는 조직이 등장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배너

기획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