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군사용 드론의 작전 반경을 넓히기 위한 새로운 통신 기술 개발이 본격화된다. SK텔레콤은 15일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군 통신망의 한계를 뛰어넘는 ‘통신 중계 드론’을 공동 개발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군은 5G 특화망인 이음 5G 주파수를 활용해 통신 중계 드론을 운영해 왔다. 그러나 고주파 특성상 전파 도달 거리가 짧고 산악지형이나 건물이 밀집한 도심에서는 전파 손실이 커 작전 반경 확대에 어려움이 있었다.
SK텔레콤과 협력사는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800MHz 등 상용 저주파 대역을 활용하는 새로운 중계 드론을 개발한다. 저주파는 회절성이 뛰어나 전파가 더 멀리, 더 안정적으로 도달하기 때문에 군사 작전의 통신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건물이 많은 도심이나 산악 지대에서도 안정적인 작전 반경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핸드오버(Handover)’ 기술이 적용돼, 드론이 다른 기지국의 서비스 구역으로 이동할 때 단말기가 자동으로 다른 기지국의 통화 채널에 동조해 끊김 없는 통신이 가능하다. 이는 복수의 중계 드론을 동시에 투입하더라도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히 군 작전에 국한되지 않고, 재난 구조·산불 진화·국경 감시 등 통신 인프라 구축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장기적으로는 국방뿐 아니라 공공 안전과 민간 드론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경덕 SK텔레콤 엔터프라이즈사업부장은 “협력사들의 독보적인 솔루션과 SKT의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해 군용 드론의 통신 한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며 “이번 개발이 국방 분야를 넘어 민간 안전망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