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하나금융그룹이 미국의 관세 부과로 직·간접 피해가 예상되는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30조원 규모의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내놨다. 하나금융은 4일 “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수출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 선제적이고 종합적인 금융지원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핵심 역할을 맡은 하나은행은 총 23조2천억원 규모의 긴급 유동성 자금을 공급한다. 세부적으로는 ▲주요 기업 대출 특판 상품 16조원 ▲고정금리 우대 대출 3조원 ▲신속 지원 특별 프로그램 2조원 ▲행복플러스 소호 대출 특판 9천억원 ▲지역보증재단 보증부 대출 1조3천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갑작스러운 관세 인상으로 자금 경색을 겪는 기업들의 숨통을 트이게 한다는 방침이다.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지원도 강화된다. 하나은행은 무역보험공사와 협약을 맺고 7천억원 규모의 ‘2차 수출패키지 우대금융’을 공급하며, 반도체·자동차·배터리 등 수출입 핵심 성장산업에는 4조원 규모의 우대금융을 집중 지원한다. 아울러 자동차 부품 업종의 피해 완화를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협력해 300억원 규모 금융지원을 진행 중이며, 현대차·기아 협력업체의 글로벌 공급망 확대를 위해 6천300억원 규모의 무역보험공사 보증부 대출도 이어간다.
신성장산업과 유망 창업기업을 대상으로는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과 연계해 1조7천억원 규모의 보증부 대출을 제공, 미래 산업을 선도할 기업들이 자금난으로 성장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뒷받침한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미국의 관세 조치로 어려움을 겪을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발 빠른 금융지원이 절실하다”며 “앞으로도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